도서관의 의미와 도서관의 역할 및 운영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의 도서관의 기능 외에 복합적이고 다양한 문화 공간의 주체가 되고있는 도서관에 대해 알아봅시다.
도서관을 도서실이나 독서실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나, 도서관은 도서실이나 독서실과는 다릅니다.
도서관에는 자료를 정리하고 관리하며 도서관을 찾는 이용자들에게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에 대한 상담과 지식정보, 자료등을 제공해 주는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 사서나 사서 선생님이 있어야 하며, 도서관법에서 정한 일정한 규모의 시설과 자료가 확보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매년 <도서관법>에서 규정하는 양의 도서를
확보할 수 있어야만 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서나 비도서 자료를 도서관 이용 대상자를 전제로 하여 다양하게 입수하는데 그 방법에는 구입, 기증, 교환에 의한 방법이 있습니다. 구입할 때에는 우량도서와 비디오, CD, 전자책 같은 비도서 자료를 선정하여 확보하며 이용자들의 희망도서 신청에 의해서도 구입을 합니다. 이용자들은 이 희망도서 신청하기를 이용하며 자신이 원하는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모르는 점이 이 희망도서 신청인데, 도서관에서 찾고자 하는 책이 없을 때 희망도서 신청을 하면 도서관에서 구입 후 대출해서 볼 수 있습니다.
기 증 : 학자들의 책이 기증되거나 이용자들이 기증합니다.
교 환 : 도서관끼리 상호 도움이 되는 책들을 교환합니다.
우량도서 : 여러 도서들 중에서 가장 좋은 책을 말합니다.
수집된 도서관 자료가 정리되면 자료가 더럽히고 손상되거나 잃어버리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도서관 장서에는 등록번호(바코드), 책등레이블, 감응장치 등 여러 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를 장서에 부착하는 작업을 장비작업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도서관 이용자가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정리작업 시 부여된 분류번호에 근거하여 일정한 기준(청구번호)에 따라 배열합니다. 또한 일정한 기간에 맞춰 도서관 자료를 재정리합니다.
한국십진분류표(KDC)
총류500
기술과학500
철학100
예술600
종교200
어학700
사회과학300
문학800
자연과학400
역사900
수집한 자료를 이용자들이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일정한 기준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고 목록을 작성하는 일을 말합니다. 보통 주제 분류를 하는데, 한국의 공공도서관들은 지식을 10가지 주제로 구분하는 한국십진분류법(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 외 십진분류법에는 듀이십진분류법(DDC), 오틀레에 의한 국제십진분류법(UDC)이 있고, 비(非)십진분류법에는 미국의회도서관분류표(LCC), 랑가나단의 콜론분류법(CC), H.E.블리스의 서지분류법(BC) 등이 표준분류법이다.
청구기호
별치기호P
분류기호813.8
저자기호한17ㄷ
권연차 기호 복본정보V.2.C.2
정보 제공 방법에는 이용자 상담에 대한 독서정보 제공과 생활정보 제공, 그리고 도서에 대한 서지정보(책이름, 저자, 출판사항 등) 제공, 문헌에 의한 학술정보 제공, 시청각 자료를 통한 영상정보 제공과 도서관 자료의 대출 등 우리 생활과 연관된 다양한 지식 정보를 도서관을 찾는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보제공 서비스는 도서관에서 책을 찾다가 잘 모르는 부분이 있다거나, 어떠한 정보를 어느 책에서 찾아야 할지 모를 때에는 도서관 사서선생님에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정보나 자료에서 추가적으로 더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일을 참고봉사라고 합니다
- 도서관은 자료를 수집, 정리, 관리, 제공하는 일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도서관은 지역 커뮤니티의 중시으로 도서관을 통한 자치문화의 발전을 꾀하고 있습니다.
- 지역사회의 중심센터로서, 모든 지역민이 어울리고 소통하는 장소로서의 도서관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한 사회통합과 자치발전에
기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입니다.
- 도서관에서는 시민들의 다양한 문화욕구를 위해 여러 가지 문화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 도서관들은 정기적인 문화행사 뿐 아니라, 비정기적인 문화행사도 기획·제공하고 있습니다.
- 도서관은 자료의 보존과 제공, 문화향유 공간, 평생교육기관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문화기관입니다.